25일차, 오세브레이로에서 사모스 가늘 길 32.4km(1) 

길을 잘못 들어 차도 위를 한참을 내려가면서 맞는 길인가 초조해 했는데, 지도에 나와있는 지명 리냐레스를 보자 얼마나 반갑던지, 카메라를 자동으로 꺼내서 한 컷 담았다.


갈리시아에 들어서면서 가장 많이 눈에 띄는 것이 노란 화살표이다. 과도할 정도로 많이 그려져 있다. 아마도 산띠아고 데 꼼뽀스뗄라가 있는 지방이기 때문에 더욱 강화되어 있는 것이 아닐지.



어떤 순례자가 갈리시아는 영국보다도 비가 잦다는 얘기를 했는데, 비도 그렇고 오전엔 안개가 많이 끼는 것 같았다. 산 로께 고개Alto San Roque(1,270m)에 있는 순례자 기념물이다.


현지인들이 손수 만든 지팡이 하나 구입하고 싶었지만...



뽀요 고개(1,335m), 산띠아고를 앞두고 마지막으로 가장 높은 지점을 지났다.



초장으로 출근하는 소떼. 멀리 보이는 구획지어저 있는 풀밭들이 소들을 위한 초장이다. 풀을 적당한 크기로 키워 옮겨가며 먹이는 것 같았다.


이른 아침 소들이 풀을 뜯기위해 초지로 향한다. 사람들에겐 전혀 위협적이지 않았던 개들이 소들에겐 얼마나 사납게 짖으며 몰아가던지 재미있게 지켜봤다. 소는 풀이 어떻게 자라는 지 걱정하지 않고 자신 앞에 있는 풀을 최선을 다해 뜯는다. 그들에게 주어진 오늘의 과업이다. 먹는 것으로 생각해 보면 사람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순례길 많은 에너지 소모 때문인지) 저녁을 그렇게 많이 먹지만 이튿날 아침이면 여지없이 뭔가를 위장에 넣어줘야 한다. 어제 먹은 것이 소화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긴하지만 그렇다고 오늘 안 먹을 수 없다. 오늘은 오늘의 양식을 먹어야 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이 획일화되어 가고 있지만, 또 하나의 삶의 방식이 있었다. 바로 유목민적 삶이다. 대개의 삶이 어제의 수고로 이룬 것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정착민의 그것이라면 유목민은 거의 오늘에 집중해 산다고 볼 수 있다. 대대로 살아갈 집을 튼튼한 재료로 짓고 밭에서 재배한 농산물을 축적하기위해 내 땅 네 땅을 구분하고는 스스로 능력치 안에서 경쟁하고 비교하는 것이 정착민이라면 하늘이 허락한 것을 찾고 그것에 만족하는 이들이 유목민일 수 있겠다. 정착민이 지키는데 무게 중심을 두고 보수적인 성향을 띤다면, 유목민은 이동하고 변화에 익숙한 진보적 성향을 띤다고 볼 수 있겠다. 
단편적으로 구분해서 생각해 본 것이지만, 까미노를 비추어 생각해 보면 까미노는 순례자들을 정착민이 아닌 유목민으로 초대한다. 어제의 어떤 것, 몇 살인지 직업이 뭐고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 지가 아닌 오늘의 한 걸음에 더 큰 의미를 두기 때문이다. 오늘 길을 찾고 먹을 것을 구하고 숙소를 정하는 모든 과정이 바로 유목민의 과제라 할 수 있다. 오늘 걷게 되는 길에 자신을 맞추고 또 새로운 숙소의 새로운 조건에 늘 새로운 마음으로 적응해야 한다. 그래서 어제는 이미 지나간 것이고, 오늘은 오늘의 새로운 마음으로 사는 것이다. 
비록 우리의 일상이 같은 장소 같은 사람들 같은 일을 하게 되지만 늘 마음을 새롭게 할 수 있다면 그 날은 새로운 날이 되지 않을까. 어제 했기에 오늘을 사는 것이 아닌 오늘을 사는 삶, 사역도, 사랑도 그랬으면 좋겠다. 까미노의 유목민처럼...

2013.10.5.

블로그 이미지

dolsori

,